게시글 생성 API 를 만든후 테스트 하기위해 인썸니아에 JSON 형식으로 (title, content, scheduledTimeStart 와 End) 를
입력 했는대, 위와 같은 에러가 나왔다.
에러부분을 읽어보면 scheduledTimeStart 를 ISO-8601 로 적용해주지 않아 발생한 오류인거같다.
ISO-8601이란?
정식 명칭
Date elements and interchange formats - Information interchange -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s
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을 다루는 국제 표준이다.
목적
날짜와 시간의 숫자 표현에 대한 오해를 줄이고자 함에 있는데, 숫자로 된 날짜와 시간 작성에 있어 다른 관례를 가진 나라들 간의 데이터가 오갈 때 특히 그렇다
형태
가장 기본적인 형식(날짜와 시간)은 아래와 같습니다.
2017-03-16T17:40:00+09:00
• 날짜 : 년-월-일의 형태로 나와있습니다.
• T : 날짜 뒤에 시간이 오는것을 표시해주는 문자입니다.
• 시간 : 시:분:초의 형태로 나와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서 초 뒤에 소수점 형태로 milliseconds가 표시되기도 합니다.
• Timezone Offset : 시간 뒤에 ±시간:분의 형태로 나와있으며 UTC기준 시로부터 얼마만큼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 현재 위의 예시는 한국시간을 나타내며 UTC기준 시로부터 9시간 +된 시간임을 나타냅니다
• Z or +00:00 : UTC기준시를 나타내는 표시이며 “+00:00”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.
표기법
연월일 표기법
1981-02-22 또는 19810222는 1981년 2월 22일을 나타낸다.
연과 연중일수 표기법
YYYY-DDD(확장 형식) 또는 YYYYDDD(기본 형식)로 표기한다. DDD는 연중 날의 번호로서 1월 1일이 001이며, 12월 31일은 평년은 365, 윤년은 366이 된다.
1981-053 또는 1981053 : 1981년의 53번째 날, 즉 2월 22일을 나타낸다.
시간 표기법
시간의 표기에는 쌍점을 쓴 hh:mm:ss(확장 형식) 또는 hhmmss(기본 형식)를 사용한다. hh는 시(時)로서 00부터 24까지의 값을 갖는다. mm은 분(分)으로서 00부터 59까지의 값을 갖는다. ss는 초(秒)로서 00부터 59까지의 값을 갖는다. 반점이나 온점을 써서 앞 단위를 나눈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, 이때 십진수를 사용하며 자릿수는 정보 교환 주체 사이에 미리 합의해야 한다. 다음은 분절 시간 표현 자릿수로 한 자리를 정한 예이다.
10:20:30,4 또는 102030,4 : 10시 20분 30.4초
10:30,5 또는 1030,5 : 10:30:30과 같다.
10.5 : 10:30와 같다.
날짜와 함께 표기할 때 표기법
날짜와 시간 사이에 T를 넣어 표기한다.
1981-02-22T 09:00:00 : 1981년 2월 22일 09:00
기간 표기법
기간을 나타낼 때에는 시작일시/종료일시로 표기한다.
1981-02-22/2007-09-26 : 1981년 2월 22일 ~ 2007년 9월 26일
1981-02-22T 09:00:00+09:00/2007-09-26T 17:00:00+09:00 : UTC+9 시간대에서 1981년 2월 22일 9시 ~ 2007년 9월 26일 17시
시간대의 표기법
시간대를 표기할 때에는 Z또는 +/- 기호를 사용한다.
Z 또는 +/- 기호를 사용
Z 또는 +/- 기호를 사용
UTC 시간대에서는 시각 뒤에 Z를 붙인다.
예) 1981-02-22T 09:00Z 또는 19810222 T0900 Z : UTC 시간대에서의 1981년 2월 22일 오전 9시
UTC 외의 시간대에서는 시각 뒤에 +- hh:mm, +- hhmm, +- hh를 덧붙여 쓴다.
예) 1981-02-22T09:00:00+09:00 : UTC+9 시간대에서의 1981년 2월 22일 오전 9시
+가 붙으면, UTC의 시각보다 더 "빠르다"다는 의미다. 반대로 -는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다.
예를 들어, 1981-02-22T09:00+09:00 는 1981-02-22T 00:00Z 와 동일하다.
즉, UTC+9 시간대에서는 오전 9시이지만, UTC 시간대에서는 오전 0시이다.
'오류해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st cli 업데이트 문제 (0) | 2024.07.23 |
---|---|
prisma.테이블명.create() invocation 에러 (0) | 2024.06.13 |
오류 해결] File exoststem.config.js not found (0) | 2024.06.07 |
오류해결] 리눅스 에서 몽고DB 서버 연결실패 (0) | 2024.05.16 |